분류 전체보기
-
-
-
소프트웨어 공학 및 알고리즘 Q&ACS 2023. 9. 27. 01:44
소프트웨어 공학 및 알고리즘 관련 예상 Q&A 소프트웨어공학 질문 (디자인 패턴, 애자일 방법론, 폭포수 모델 등 ) 알고리즘 관련 이론 질문 #1 ) 디자인 패턴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나요? 디자인 패턴이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들을 정리한 패턴을 의미합니다. 목적에 따라 생성 패턴, 구조 패턴, 행위 패턴으로 나뉩니다. 생성 : 객체 인스턴스 생성에 관여하는 패턴 EX : Builder, Singleton, Prototype, Factory Method, Abstract Method 구조 : 더 큰 구조 형성 목적으로 클래스 / 객체 조합 다루는 패턴 EX : Adapter, Decorator, Bridge, Facade, Proxy .. 행위 ..
-
프로그래머스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베스트앨범, 의상Java/코딩테스트 2023. 9. 26. 02:43
✂️프로그래머스 :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697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인접행렬로 그래프를 바꿔서 푸는 문제를 최근에 안 풀었어서 이번기회에 다시 풀어봤다. 역시 안 풀면 계속 머리가 굳는 것 같다.. ✂️ 인접행렬로 그래프를 바꾸려면 아래 조건을 확인해봐야 한다. 노드 개수에 비해 에지가 적으면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비교해보기 노드 개수가 너무 많으면 메모리 초과날 수도 있음. ✂️ 이 문제에서는 에지 개수가 N-1이므로..
-
Thread Safety에 대해 알아보자One Cookie a day 2023. 9. 22. 20:31
Thread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Thread끼리 메모리의 특정 부분을 공유하며 작동 Code : 프로그램의 코드 / 명령어들이 기계어로 저장된 영역 Data : 코드에서 선언된 전역 / 정적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 실행 시 할당되고 종료 시 소멸 Stack : 컴파일 타임에 크기 결정, 지역변수, 매개변수, 리턴 값 등 저장 Heap : 런타임에 크기가 결정,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 공간이 동적으로 할당되고 해제되는 영역, 참조형 등 저장 독립적으로 가지는 부분 : program counter, register set, stack 다른 스레드와 공유하는 부분 : code, data, OS resources Thread-Safety? * 멀티 스레드 간 동기화 문제란? ..
-
IEEE 754와 부동 소수점Extra Knowledge 2023. 9. 22. 03:59
* IEEE 754 컴퓨터에서 부동소수점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표준 * IEEE ?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는 전기전자공학 전문가들의 국제조직이다. IEEE는 'I-Triple-E'(아이 트리플 이)라고 발음하며, 미국의 뉴욕에 위치하고 있다. 2004년 150개국 35만 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전기전자공학에 관한 최대 기술 조직으로 주요 표준 및 연구 정책을 발전시키고 있다. 주요 역할은 전기 전자에 대한 산업 표준 회의를 통하여 정하고 이것을 공표하여, 산업 기기간의 표준화를 구현한다. 부동 소수점이란? 뜰 부 + 움직일 동 = 떠서 움직이는 소수점 우리가 배웠던 일반적인 소수 123.45 (12..
-
자바 GenericJava/이론&문법 2023. 9. 22. 03:06
- Java 5에서 추가 - 타입 형 변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없애기 위해(컴파일 시점에) 만들어졌다. - 데이터 타입을 외부에서 지정한다. 🧐 그냥 모든 객체의 최상위인 Object로 쓰긴 어려운가? 어떤 타입을 넘겨도 상관없지만, get으로 저장된 값을 꺼낼 때 Object로 넘어오기 때문에 형변환을 해줘야 한다. 이 케이스 별로 if ( ~~instanceOf String) 이런식으로.. String str = (String) data.getObject(); // data.getObject()의 리턴값이 Object이므로 String str = data.getObject(); // String으로 받겠다고 명시해놨으므로 이때 String으로 명시 그래서 등장한 것이 제너릭. 형 변환..
-